옥내소화전설비함 (=소화전함)은 우리 주위에서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소화 설비이다.
특히 옥내소화전설비함의 경우 화재 발생 초기에 일반인도 사용할 수 있는 소화 설비이므로 구성에 대해 알아두면 좋다.
화재진압에 필요한 필수 장비로 구성되어 있으며 아래와 같은 구성품들로 구성되어 있다.
1. 옥내소화전설비 방수구 (구경 40mm, 1-1/2 인치)
방수구는 단어 그대로 물을 방출하는 구멍이다.
개폐 역할을 하는 Angle Valve가 설치된다.
관창(=노즐) 선단에서의 방수압력이 0.7Mpa 이상인 경우, 방수구와 호스 연결부 사이에 감압밸브를 설치한다.
2. 연결송수관설비용 방수구 (구경 65mm, 2-1/2 인치)
옥내소화전설비함 내부에 "옥내소화전설비함용 방수구"와 "연결송수관설비용 방수구"를 함께 설치하는 경우도 많다.
연결송수관설비용 방수구는 구경이 65mm라 전용 호스는 연결송수관설비용 방수기구함에 별도로 비치한다.
즉, 옥내소화전설비함에 연결송수관설비용 호스를 비치하지 않는다.
또한, 옥내소화전설비함에 연결송수관설비용 방수구를 함께 설치하는 경우, 아래의 사진과 같이 배열된다.
- 옥내소화전설비함용 방수구 : 바닥으로부터 1.5m 이내 (상부)
- 연결송수관설비용 방수구 : 바닥으로부터 0.5 ~ 1m 이내 (하부)
이와같이 옥내소화전설비함용 방수구가 연결송수관설비용 방수구보다 위쪽에 설치되는 이유는 우선 사용 설비를 고려한 위치 선정이다.
옥내소화전설비함용 방수구는 화재를 초기에 발견한 일반인이 사용하기 때문에 사용이 보다 편리한 상부에 설치된다.
반면, 연결송수관설비용 방수구는 화재를 초기에 진압하지 못해 소방관이 진입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한 경우, 즉 우선순위가 더 낮은 상황이기 때문에 아래쪽에 설치된다.
3. 소방호스 (구경 40mm)
방수구와 연결되는 소방호스는 한 본당 15m 이다.
방수구 하나당 25m 반경을 커버하기 위해선 2개의 호스를 구비해야 한다.
4. 관창 (=노즐)
관창의 종류는 크게 직사형 / 방사형이 있다.
직사형은 관창 끝이 고정되어 있어 직사 방수만 가능한 타입이다.
방사형은 관창 끝에 분사각을 조절할 수 있는 밸브가 있어 직사 또는 분무 방수가 가능하다.
5. 표시등
화재가 발생하면 정전이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어두운 상황에서도 옥내소화전설비함의 위치를 쉽게 파악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표시등이 설치되어 언제나 옥내소화전설비함의 위치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
6. 기동표시등
화재 발생시 방수구에서 물이 방출되기 위해선 수원으로부터 가압송수장치(펌프)를 통해 물을 끌어와야 한다.
이때 가압송수장치가 가동되었음을 알려주는게 기동표시등이다.
즉, 펌프가 가동되면 기동표시등에 적색 불이 켜진다.
7. 발신기
화재 발생시 이를 건물 내 관리자 및 일반인들에게 알리기 위한 장치이다.
옥내소화전설비함에 설치되는 발신기는 단독형 발신기이다.
※ 단독형 발신기 ? 복합형 발신기 ?
단독형 발신기는 "소방펌프 기동 + 화재 수신반에 화재 신호 전송" 2가지 기능을 한다.
복합형 발신기는 이 2가지 기능에 추가로 "화재 경보(사이렌)" 기능 또한 수행한다.
8. 수동 기동 스위치 (ON/OFF Switch)
요즘 설치되는 옥내소화전설비함에서는 거의 볼 수 없는 구성품이다.
화재 발생시 가압송수장치(펌프)를 가동시키는 역할을 하지만, 요즘은 대부분 자동기동방식을 채택하여 수동 기동 스위치가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자동기동방식이더라도 발신기에 위치한 스위치가 수동 기동 스위치의 역할을 대신하여 더욱 보기 힘들어진 구성품이다.
※ 자동기동방식 ? 수동기동방식 ?
자동기동방식은 화재 발생시 화재감지기가 열 또는 연기를 감지하면 자동으로 가압송수장치(펌프)가 작동한다.
수동기동방식은 사용자가 수동 기동 스위치를 눌러 펌프를 작동시켜야 한다.
과거에는 수동 기동 스위치를 별도로 설치하여 단순히 소방 펌프를 작동시키는 역할만 했지만,
현재는 발신기가 수동 기동 스위치 역할을 함께 수행한다. (기술 발전, 법규 및 설계 표준의 변화, 유지보수 효율성 등의 이유)
위와 같이 옥내소화전설비함의 구성요소들에 대해 간단하게 알아보았다.
기술이 발전하면서 소방 기술도 함께 발전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모두가 안전한 환경에서 생활하는 세상이 왔으면 좋겠다.
'소방 > 옥내소화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옥내소화전설비의 특징 (0) | 2024.01.16 |
---|---|
옥내소화전 최소 / 최대 방수압력 (0) | 2023.10.18 |
옥내소화전설비 수원의 겸용 가능 여부 (0) | 2023.10.17 |
옥내소화전 수조 관련 (2) | 2023.10.10 |
옥내소화전 최소 방수압력 (0) | 2023.09.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