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전
첫 번째 공부했던 단어와 중복되는 '가계'가 다시 나왔다.
가계는 경제 용어에서 대체적으로 '가구'와 같은 (Not furniture...) 의미로 사용되는 것 같다.
수지는 경상수지 같은 단어에 포함되는 것을 들어는 봤는데 역시 정확한 의미가 뭔지는 모르겠다.
내 나이에 수지라는 단어를 접했을때 연예인 말고는 떠오르는게 없다는 사실이... 열심히 공부해야 겠다는 생각이 든다.
뭐든 이제부터라도 알면 되니까 :)
정의
가정에서 일정 기간의 수입(명목소득)과 지출을 비교해서 남았는지 모자랐는지를 표시한 것을 가계수지(household's total income and expenditure)라 한다. 가계수지가 흑자를 냈다면 그 가정은 벌어들인 수입 일부만을 사용했다는 것을 의미하며, 적자를 냈다면 수입 외에 빚을 추가로 얻어 사용한 것이라고 보아야 한다. 우리나라는 통계청에서 가계의 수입과 지출을 조사하여 국민의 소득수준 및 생활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표본으로 선정된 가게에 가계부를 나누어 주고 한 달간의 소득과 지출을 기록하도록한 다음 이를 토대로 가계수지 통계를 작성하여 발표하고 있다. 가계부의 소득항목에는 근로소득/사업소득/재산소득/이전소득 항목이 있고, 비용항목에는 식료품비/주거비/수도광열비/보건의료비/교육비 항목이 있다.
모르는 단어
1) 경상수지 : 외국과 물건(재화)이나 서비스(용역)를 팔고 산 결과를 종합한 것을 말한다. 즉, 국가 간 상품 및 서비스의 수출입, 자본 노동 등 생산요소의 이동에 따른 대가의 수입과 지급을 종합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국제수지'를 이루는 중요한 요소이다.
경상수지는 상품수지 / 서비스수지 / 소득수지 / 경상이전수지등으로 구분된다.
2) 자본수지 : '경상수지'와 함께 '국제수지'를 이루는 '자본수지'는 재화/용역의 주고받음 없이 외국에서 빚을 얻어 오거나 빌려준 것을 수치화한 것이다. 자본수지는 외국인의 국내주식/채권 매입, 우리나라 기업의 해외 직접투자, 외상 수출입에 따라 발생하는 채권/채무 등에 따른 자본의 유출입차를 나타내는 항목이다.
'경제 > 경제금융용어 700선' 카테고리의 다른 글
6) 가교은행 (0) | 2024.08.20 |
---|---|
5) 가계처분가능소득 (0) | 2024.08.18 |
4) 가계신용통계 (0) | 2024.08.17 |
3) 가계순저축률 (0) | 2024.08.12 |
1) 가계부실위험지수 (HDRI) (0) | 2024.08.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