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 전
가계는 말 그대로 내 가족 내 가정 더 넓은 의미로 보면 내가 속한 집단 혹은 나라
부실은 말 그대로 이를 이루고 있는 근간이 불안하다는 의미
위험지수는 위험한 정도를 수치화 했다는 의미
종합해보면 현재 가계가 부실해질수 있는 위험에 처할수 있는 정도 ? 확률 ?
첫 번째 단어부터 상당히 어렵다... 내가 쓰면서도 무슨 말인지 모르겠다....
정의
가구의 소득 흐름은 물론 금융 및 실물 자산까지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가계부채의 부실위험을 평가하는 지표로, 가계의 채무상환능력을 소득 측면에서 평가하는 원리금상환비율(DSR : Debt Service Ratio)과 자산 측면에서 평가하는 부채/자산비율 (DTA : Debt To Asset Ratio)을 결합하여 산출한 지수이다. 가계부실위험지수는 가구의 DSR과 DTA가 각각 40%, 100%일 때 100의 값을 갖도록 설정되어 있으며, 동 지수가 100을 초과하는 가구를 '위험가구'로 분류한다. 위험가구는 소득 및 자산 측면에서 모두 취약한 '고위험가구', 자산 측면에서 취약한 '고DTA가구', 소득 측면에서 취약한 '고DSR가구'로 구분할 수 있다. 다만 위험 및 고위험 가구는 가구의 채무상환능력 취약성 정도를 평가하기 위한 것이며 이들 가구가 당장 채무상환 불이행, 즉 임계상황에 직면한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모르는 단어
1) 원리금상환비율 (또는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DSR : Debt Service Ratio)
대출자(차입자)의 총 금융부채 원리금 상환액을 연소득으로 나눈 비율. (원리금 : 원금과 이자를 합친 돈)
가계가 연소득 중 주택담보대출과 기타대출(신용대출 등)의 원금과 이자를 갚는데 얼마를 쓰는지 보여준다.
시중은행과 보험회사에서 받은 주택담보대출, 신용대출을 비롯해 마이너스통장대출, 자동차 할부, 신용카드 미결제까지 포함한 모든 금융회사 빚을 합해 이를 기준으로 소득 대비 원리금 상환 부담을 산출한다.
총부채상환비율(DTI : Debt To Income)을 적용해 심사할 때보다 대출 규모가 일반적으로 줄어든다.
쉽게 말하면, 나의 연 소득 중 최대 40% 까지 대출 상환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는 뜻이다.
미루어 짐작 가능하듯이, DSR 규제의 취지는 "갚을 수 있는 만큼만 빌려라" 이다.
2) 부채/자산비율 (또는 부채비율, DTA : Debt To Asset Ratio)
부채, 즉 타인자본의 의존도를 표시하며, 경영분석에서 기업의 건전성의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로 쓰인다. 기업의 부채액은 적어도 자기자본액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므로 부채비율은 1 또는 100% 이하가 이상적이다.
이 비율이 높을수록 재무구조가 불건전하므로 지불능력이 문제가 된다. 이 비율의 역수는 자본부채비율(자기자본/부채총액)이 된다.
'경제 > 경제금융용어 700선' 카테고리의 다른 글
6) 가교은행 (0) | 2024.08.20 |
---|---|
5) 가계처분가능소득 (0) | 2024.08.18 |
4) 가계신용통계 (0) | 2024.08.17 |
3) 가계순저축률 (0) | 2024.08.12 |
2) 가계수지 (0) | 2024.08.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