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방/스프링클러 3

소방 시설법 시행령 별표 4를 통해 알아보는 법규 해석

법규 해석은 언제봐도 정말 어려운 것 같다. 예를 들어 3층 이하의 층에 스프링클러 설비를 제외할 수 있는 기준에 대해서 알아보자.제목에 기재한 바와 같이 소방시설법 시행령 별표 4 에서 확인이 가능하다. 라. 스프링클러설비를 설치해야 하는 특정소방대상물 (위험물 저장 및 처리 시설 중 가스시설 및 지하구는 제외한다)은 다음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것으로 한다.7) 특정소방대상물의 지하층·무창층(축사는 제외한다) 또는 층수가 4층 이상인 층으로서 바닥면적이 1천㎡ 이상인 층이 있는 경우에는 해당 층 즉, 다음과 같은 경우에 스프링클러설비를 설치해야 한다는 뜻이다. 1) 지하층으로서 바닥면적이 1천㎡ 이상인 층2) 무창층으로서 바닥면적이 1천㎡ 이상인 층3) 층수가 4층 이상인 층으로서 바닥면적이 1천㎡ ..

스프링클러 설비의 종류와 특징

스프링클러 설비는 옥내소화전 다음으로 우리 실 생활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소화설비이다. 이 중에서도 화재 발생 시 자동으로 작동하는 "자동소화설비"의 일종이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화재안전성능기준에서 규정하고 있는 5가지 종류의 스프링클러 설비에 대해서 알아보자. 1. 습식 스프링클러 설비 (Wet Pipe Sprinkler System) 정의 : "습식스프링클러설비"란 가압송수장치에서 폐쇄형 스프링클러헤드까지 배관 내에 항상 물이 가압되어 있다가 화재로 인한 열로 폐쇄형 스프링클러헤드가 개방되면 배관 내에 유수가 발생하여 습식유수검지장치가 작동하게 되는 스프링클러 설비를 말한다. 구조 : 시스템 내 모든 곳에 물이 차 있으며, 헤드에서 열이 감지되면 Bulb가 깨지면서 소화수가 즉시 방수된다. 화재에 대..

Sprinkler 설비의 송수구와 연결되는 배관

Sprinkler 설비로 공급되는 소화수는 "유수검지장치"를 거치도록 되어 있다. (유수검지장치 : Pre-action valve / Deluge valve 등과 같이 물의 흐름을 감지하여 수신반에 신호를 주는 장치) 우선 스프링클러 타입별로 소화수가 왜 유수검지장치를 거쳐야 하는지에 대해 알아보자. 1) 폐쇄형 스프링클러설비 "폐쇄형 스프링클러설헤드"란 정상상태에서 방수구를 막고 있는 감열체가 일정온도에서 자동적으로 파괴·용융 또는 이탈됨으로써 방수구가 개방되는 헤드를 말한다. (NFPC 103) - 헤드가 열에 의해 개방되거나 감지기로부터 화재가 인식된 경우 유수검지장치가 개방된다.- 화재 상황이 아닌 경우 유수검지장치 2차측으로 소화수가 전달될 시, 겨울철 동파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2) 개방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