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43

행동하지 않으면 인생은 바뀌지 않는다 - 브라이언 트레이시

들어가면서 자기 계발서를 좋아하고 즐겨 읽지만, 이 책은 읽는 내내 더욱 가슴이 뛰었다.저자가 말하는 모든 말이 현실성이 있기 때문이다. 책을 여러 권 읽으며 어느 정도 비판적 시각을 가질 수 있게 되었다.자기 계발서를 읽을 때는 저자가 단순히 독자들에게 희망고문을 하는 것인지,그게 아니면 정말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진실된 조언을 하는 것인지를 구분하며 읽었다.희망고문이 나쁜 것은 아니다. 하지만 요즘같이 삭막한 시대에 근거 없는 희망고문은 나쁘다. 책 중간중간 나오는 본인이 쓴 책 들에 대한 간접 광고(?), 자기 자랑(물론 본인은 자랑이 아니라고 하지만~)을 보면 캐나다 판 세이노 같다는 생각도 들었다.하지만 나는 세이노의 가르침을 2번 정독한 세이노의 열렬한 팬이다.세이노의 가르침을 감명 깊게 읽..

옥내소화전설비함 구성 (=소화전함)

옥내소화전설비함 (=소화전함)은 우리 주위에서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소화 설비이다.특히 옥내소화전설비함의 경우 화재 발생 초기에 일반인도 사용할 수 있는 소화 설비이므로 구성에 대해 알아두면 좋다. 화재진압에 필요한 필수 장비로 구성되어 있으며 아래와 같은 구성품들로 구성되어 있다.  1. 옥내소화전설비 방수구 (구경 40mm, 1-1/2 인치) 방수구는 단어 그대로 물을 방출하는 구멍이다.개폐 역할을 하는 Angle Valve가 설치된다.관창(=노즐) 선단에서의 방수압력이 0.7Mpa 이상인 경우, 방수구와 호스 연결부 사이에 감압밸브를 설치한다. 2. 연결송수관설비용 방수구 (구경 65mm, 2-1/2 인치) 옥내소화전설비함 내부에 "옥내소화전설비함용 방수구"와 "연결송수관설비용 방수구"를 함께 ..

11) 가상통화공개 (ICO)

공부 전 가상은 단어 그대로 실물로 존재하지 않는 것을 의미통화는 돈, 화폐와 같이 현물을 의미공개는 짜잔(?)종합해보면 비트코인과 같이 존재하지 않는 화폐를 짜잔 공개한다 ??전혀 감이 오지 않는 오늘의 경제용어.... 정의 가상통화(ICO; Initial Coin Offering) 공개는 주로 혁신적인 신생기업(startup)이 암호화화폐(cryptocurrency) 또는 디지털 토큰(digital token, 일종의 투자증명)을 이용하여 자금을 조달할 수 있는 크라우드펀딩(crowd funding)의 한 방식이다. 가상통화공개(ICO)에서 새로 발행된 암호화화폐는 법화(legal tender) 또는 비트코인 등 기존의 가상 통화와 교환되어 투자자에게 팔린다. 이 용어는 거래소에 상장하려는 기업이 투..

10) 가상통화

공부 전 요즘 가상화폐에 대해 못 들어본 사람은 없을 것이다. 비트코인이 대표적인 가상화폐다.비트코인에 대해 깊게 관심을 가져본적이 없어서 자세히는 모른다.가상통화도 가상화폐와 비슷한 개념으로 생각하면 되지 않을까?통화와 화폐의 차이점이 무엇인지에 대해 알아봐야겠다. 정의 가상통화 (virtual currency)는 중앙은행이나 금융기관이 아닌 민간에서 블록체인을 기반 기술로 하여 발행 및 유통되는 '가치의 전자적 표시'(digital representation of value)로서 비트코인이 가장 대표적인 가상통화이다. 비트코인 등장 이전에는 특별한 법적 근거 없이 민간 기업이 발행하고 인터넷 공간에서 사용되는 사이버머니(게임머니 등)나 온 오프라인에서 사용되고 있는 각종 포인트를 가상통화로 통칭하였다..

9) 가산금리

공부 전 학창시절 가산점 (많이 받아본 경험은 없지만....) 이라는 단어는 많이 들어봤다.예를 들어 대학 입시에서 사회복지학과를 지원하는 친구들 같은 경우, 누적 사회 봉사 활동 시간이 일정 기준을 넘기면 그렇지 않은 지원자들 보다 약간의 점수를 더 받는 경우라던지, 경찰 공무원에 지원하는 지원자가 태권도 단수가 높은 경우 약간의 점수를 더 받는 경우라던지...(사실 말이 가산점이지, 대부분의 지원자가 이미 가산점 항목들을 꿰차고 있기 때문에 오히려 가산점을 못 받으면 마이너스가 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비슷하게 생각해보면, 가산금리는 일정 조건을 충족하면 일반적인 경우보다 금리 혜택을 주는 것을 의미하는게 아닐까....(예를 들면 예비 신혼 부부, 다자녀 가정, 상대적 빈곤 등) 정의 기준금리에 신..

8) 가변예치의무제도

공부 전 전혀 모르겠다.가변 : 가능함 + 변화예치 : 돈을 예치한다.의무제도 : 말 그대로 법에서 정해놓은 일정 기간 동안에는 혹은 어떠한 특정 상황에서는 반드시 이행해야 하는 제도 정의 국경간 자본유출입은 기업의 자금조달 비용을 낮추어 투자를 활성화하는 긍정적인 측면도 있지만, 단기간에 대규모로 이루어질 경우 환율 또는 증권가격의 급등락을 불러와 경제 안정을 해칠 수도 있다. 이러한 부작용을 완화하기 위한 제도의 하나가 가변예치의무제도이다. 동 제도는 외국으로부터 유입된 자금에 대해 일정 비율의 예치의무를 부과함으로써 국경간 자본 유출입의 규모와 속도를 조절하는 수단이다. 우리나라는 외국환거래법에서 국제수지 및 국제금융 상 심각한 어려움에 처하는 경우와 통화정책, 환율정책 및 기타 거시경제정책에 심각..

7) 가동률

공부 전 공장 가동률은 공장에 설치된 생산 라인들 중 몇 개의 라인이 현재 가동 중 인지를 수치화 한 것이다.경제 용어에서 가동률은 무엇일까... 정의 생산능력 대비 생산실적의 백분율 (생산실적/생산능력 X 100)로, 생산설비가 어느 정도 이용되는지를 나타내는 경제지표이다. 여기서 생산능력이란 사업체가 정상적인 설비, 인력, 조업시간 등 조업환경 하에서 생산할 때 최대 생산 가능량(적정생산능력)을 의미한다. 생산설비의 가동상황인 가동률은 경기의 단면을 보여주는 좋은 지표가 될 수 있는데 이는 기업들이 앞으로의 경기 예상에 따라 가동률을 높이거나 낮추는 방법으로 생산량을 조절하기 때문이다. 다만 가동률이 높다고 무조건 좋은 것은 아닌데, 이는 경기가 침체된 상황에서 높은 가동률은 앞으로 경기가 회복될 것..

6) 가교은행

공부 전 가 : 가능하다 교 : 교섭이교섭이 가능한 은행. 나의 신용등급에 맞추어 최적의 상품을 제공해주는 은행 ?전혀 감이 안온다. 정의 청산 대상 금융기관의 자산, 부채를 임시로 넘겨받아 예금, 출금 등의 업무를 대행하고 합병, 채권채무관계 조정 등 후속조치를 수행하는 은행을 말한다. 금융기관이 파산한 경우 예금보험제도는 청산, 매각, 자산부채승계, 가교은행을 통한 인수 등의 수단을 통해 부실 금융기관을 처리한다. 이 중 가교은행을 통한 인수방식은 파산은행의 처리에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할 경우 사용되며 새로운 은행을 설립하여 자산, 부채를 포괄승계하도록 하고, 인수 희망자를 물색하는 등의 조치를 취하게 된다. 가교은행을 이용한 처리방식은 금융기관 파산에 따른 충격을 완화하고 시간적인 여유..

돈의 속성 - 김승호

들어가면서 이 책은 내가 독서를 시작한 이후로 유일하게 "바로" 두 번 연속 읽은 책이다.각 소제목에 해당하는 내용들이 짧아서 집중에 아주 도움이 되고, 내용 또한 아주 콤팩트하여 회장님(저자)께서 전달하고자 하는 내용을 파악하는데 도움이 되었다.독서에 흥미가 없던 시절(아마 3~4년전쯤), 아내와 교보문고를 가면 베스트셀러에 아주 오랜 기간동안 이 책이 있었던 것으로 기억한다.역시 절대 다수에게 오랜 기간 읽혀온 책은 역시 이유가 있다...! 배운 점 1. 여기서 이 347원을 '겨우'라고 생각하는 사람과 '무려' 347원이라고 생각하는 차이가 투자의 차이를 만들고 부의 차이를 만들며 삶의 차이를 만든다." 복리의 비밀에 대한 가르침에 나온 문구이다. 마법과 같은 복리는 워런 버핏을 세계에서 가장 큰 ..

5) 가계처분가능소득

공부 전 처분이라는 단어가 이전에 공부했던 용어에 포함되어 있던 것 같아 찾아보니 "가계순저축률" 공부할 때 나왔던 단어다.하지만 복습을 안해서 그런지 전혀 개념이 기억나지 않는다. 정의 가계처분가능소득(PDI : Personal Disposable Income)은 가계가 맘대로 소비와 저축으로 처분할 수 있는 소득을 의미한다. 흔히 국민들의 생활수준을 파악해 볼 수 있는 지표로 1인당 GNI가 널리 쓰이고 있으나 국민총소득에는 가계 뿐 아니라 기업 금융기관정부가 벌어 들인 소득이 모두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기업과 금융기관 등이 가계부문보다 더 많은 소득을 벌어 1인당 국민총소득(GNI)이 높아진 경우에는 가계가 느끼는 체감경기는 전체 경기와 괴리가 있게 된다. 1인당 가계총처분가능소득 (PGDI : ..